유용한프로그램

위성사진 위에 지적도 올리고 그위에 지형도 올리기

정엽소나무 2012. 1. 18. 19:41

-  

위성사진 위에 지적도 올리고 그위에 지형도 올리기

 

1

포토샵을 열고, 지적도를 캡쳐하여 불러 온다.

 

 

 

2

위성사진을 캡쳐하여 불러온다.

 

 

 

3.

빨강점(다음부터는 빨강점은 생략한다) 1개 있는 지적도 부분에 마우스왼쪽을 누룬상태에서 끌어다가

2개있는 위성사진위에 끌어다 놓으면 새로운 레이어가 생긴다.

 

 

 

4

1개 있는 부분이 새로생긴 레이어이다.

새로생긴 레이어가 원래는 100%인데서서히 낮추면 위성사진위에 올려놓은 지번도가 서서히 투명해진다.

30~70%사이에서 작업하기 좋은 정도에 맞춘다

 

 

 

5

 위성사진이나 지번지적도나 지형도는 같은 곳을 다르게 표현한것에 불과하므로 공통점이 분명히 존재하게 된다.

지번지적도는 일제시대때 만들어진것을 현재기술이 발달하였다고하여 바꾸게되면 국민의 기본권인 재산권에

영향을 줄수 있기에 도시계획이나 개발에따른 수치지적도를 작성하는 외의 지역에 분쟁이 발생하면 옛날방식으로

측량하여 경계를 정해 주겠끔되어 있다.

새로나온 도로는 당연히 개발에 의하여 지적도가 새로 작성되어 있다.

구거와 오래된전답, 구길, 하천, 대지, 건물, 기타 지적도 작성후 변함이 적은것들은 위성사진위에 올려놓은 지적도와

일치하는 부분이 확실히 표시가 난다. 그 표시나는 부분을 2~4개 정도를 특정한다.

특정한곳중 해당지번이 완전히 안에 들어오는 곳중에 가장먼곳을 기준으로 비율을 맞추어간다.

 

 

 

6

비율을 맞춘다음 레이어의 투명도를 원래대로 100%로 맞춘다.

 

 

 

7

1개 있는곳을 누루면 2개있는 부분처럼 새로운 레이어가 생성된다.

3개있는곳의 해당지번의 경계선을 따라 그린다.

 

 

 

8

1개있는곳의 눈동자 부분을 클릭하면 1번레이어가 위성사진위에서 사라지고, 해당지적도의 경계를따라 그린 그림만 남게된다

 

 

 

9

지형도를 캡쳐하여 불러온다

 

 

 

10

1개있는 부분의 선택이라는 글자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선택바가 나타난다.

선택바의 항목중 색상선택이라는 항목을 클릭하면 2개있는 부분의 색상범위라는 창이 뜬다.

3개있는 지형도 부분중 등고선색상을 선택하여 승인을 누른다.

 

 

 

11

선택된 등고선은 움직이는 짧은점선으로 변한다.

Ctri+C를 눌러 복사한다음, 위성사진위에 Ctri+V를 눌러 붙여넣기 한다.

 

 

 

12

 위성사진위에 그린 지번도와 복사하여 올린 등고선이 올려져 있다.

등고선간격 1개당 10미터의 높이차이를 나타낸다.

본건임야의 높이는 도로로부터 60미터 내외가 된다는것을 알수가 있다.

 

 

 

13

완성된 그림이다.

2009년형 전자지적도에는 지형도위에 해당지번이 나타나게 할수있는 기능이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그렇지만 위성사진위에 올리게 할수는 없을것이다.

왜냐하면 위성사진은 여러장의 사진을 이어붙여서 만들었기에 축척이 일정할수가 없어서, 그위에 지적도나

지형도를 올릴경우 핀트가 들어맞을수가 없다.

자칫 분쟁의 소지를 발생시킬수 있기에, 위성사진위에 올릴수 있는 전자지적도를 유통하는것은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안될것이다.

 

'유용한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맵에서 사진보는법  (0) 2012.01.18